Weekly JennPM

[3주차 Weekly] 핏펫의 MVP기획하기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젠Jenn 2022. 4. 3. 21:45

3주차 주제

정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소 기능 제품 기획하기

* MVP: Minimum Viable Product의 약자로 최소 기능 제품을 의미

 

 

 

제품(기능) 기획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2주차 Weekly에서 정의한 문제는

'차별화 요소인 병원 검색 기능을 통해 고도화 및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였습니다.

 

현재 핏펫이 병원 검색 기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진료 시간', '거리', '지역', '추천 필터'로 이뤄진 4가지의 검색 필터
  • 핏펫과 제휴되어 있는 동물 병원의 경우: 간편 예약 서비스 제공
    1. 방문할 반려동물 선택
    2. 반려동물 정보 확인 및 정보 수집 동의
    3. '예방접종', '건강검진', '일반진료', '상담진료' 중 예약할 서비스 선택
    4. 방문 희망 날짜 선택
    5. 담당지 및 방문 시간 선택
    6. 반려동물에 대한 제세한 설명
    7. 예약 완료
  • 핏펫과 제휴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화걸기 및 리뷰쓰기 서비스
  • 예약 내역: 병원 예약 신청 후 이용 가능

 

 

'최적화된 병원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한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더욱 쉬워진 영수증 인증]

핏펫 리뷰 인증 조건

 

현재 핏펫에서 병원 후기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조건과 함께

오직 6개월 이내의 영수증만 인정이 됩니다.

 

하지만 탄소중립 실천포인트 지급제에서 제시한 방안 중 하나가

'종이 영수증의 사용을 줄이고 전자영수증 사용을 늘리자'인 것과 같이

현재 불필요한 종이 영수증의 사용을 줄이는 추세입니다.

*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제: 국민의 탄소중립 생활 실천 문화 확산을 위해 민간기업의 친환경 활동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

 

이에 따라 리뷰 인증 기준에 '병원이름이 찍힌 카드 이용 내역' 등을 추가해

영수증 인증 외의 기준을 추가하여 더욱 쉬워진 영수증 인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1 실시간 챗봇]

 

2주차 Weekly에서 핵심자원으로 뽑은 '어헤드 베이직'은 반려동물을 위한 간편 검사 서비스입니다.

어헤드 키트를 통해 검사를 실시하면 검사 결과에 따른 분석 내용을 자세히 전달해줍니다.

하지만 검사 결과 보고 추가적인 궁금증이 생기더라도

바로 진료를 위해 병원에 갈 수 없는 상황이거나

진료를 받기에는 사소한 질문이라고 생각이 될 경우

사용자는 선뜻 병원을 예약하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실시간 챗봇을 통해 사용자의 궁금증을 해결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어헤드 검사결과에 따른 궁금증부터

나의 반려동물이 보이는 사소한 증상까지

세세하게 물어볼 수 있는 챗봇 서비스를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걱정을 덜어줍니다.

 

 

[병원찾기 세부 기능의 이동]

핏펫 마이페이지

핏펫 사용자가 진료 수첩을 사용하기 위해선

'앱 접속' >> '마이페이지 터치' >> '병원찾기 카테고리 터치' >> '진료 수첩 터치'의 4단계를 거쳐야 하며

마이페이지의 하단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율이 낮아 기능이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약 내역, 리뷰 관리, 진료 수첩의 세가지 기능을 하단바에 '병원' 메뉴를 터치하면 서브메뉴로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섹션으로 기능을 옮겨 사용자의 접근율을 높입니다.

 

 

[진료 수첩]

마이페이지의 진료수첩

실제 동물병원에서도 반려동물에 따라 진료수첩을 나눠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를 통해 진료 수첩을 기록할 수 있다면

이사 등의 이유로 병원을 옮기게 되더라도

이와 상관없이 이어서 기록할 수 있습니다.

현재 핏펫의 진료 수첩은 리뷰를 작성해야만 이용 가능하지만

더 많은 접근성을 위해 리뷰를 작성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진료 수첩에 기록을 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변화를 주었습니다.

 

 

[다양한 기능이 있는 캘린더]

 

핏펫이 제공하는 캘린더 기능을 통해

정기적인 검진 일정이나 예방 접종 기간, 육아 일기, 산책간 날짜 등 

반려동물과 관련한 스케줄만을 입력하는 캘린더를 통해 지속적인 리마인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육아 일기의 경우, 반려동물의 평소 행동 패턴에 대해 기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병원 진료 시 일기에 기록한 내용을 통해 반려동물의 증상을 설명할 때 이를 더욱 자세히 참고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제작

위의 기능을 바탕으로 low-fidelity prototype을 제작했습니다.

 

low-fi prototypes

 

 

솔루션 정의 (Solution Statement)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가 만들고자한 솔루션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핏펫 : 반려동물을 위한 의료 비서 서비스

 

핏펫을 통해 병원 검색부터 진료 예약, 후기 작성, 맞춤 사료 추천, 진료 수첩 및 일정 관리까지

반려동물을 위한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의료 비서'로 이를 칭했습니다.

 

 

 

사용자 시나리오 설정 (시장호응가설)

'병원찾기' 스토리보드
진료수첩 스토리볻,
캘린더 스토리보드
육아일기 스토리보드
리뷰관리 스토리보드

 

해당 스토리보드는 사용자가 겪을 과정을 순서로 나타내기보단

화면에 따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위주로 설명한 스토리보드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재미적 요소를 위해 반려동물의 육아일기 기능에

비문인식을 통해 육아일기를 열 수 있는 서비스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비문인식이 어느 정도까지 일반 폰 카메라로 구현 가능한지 추가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BM 강화하기

비즈니스 모델 분석

핏펫의 BMC

이번주 내용을 통해 익혔던 Business Model Canvas를 통해

핏펫의 수익모델을 도식화해보았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강화하기
: 새롭게 기획한 기능을 토대로 해당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여 작성합니다

새롭게 기획한 기능 중 '더욱 쉬워진 영수증 인증'은

더 많은 사용자가 리뷰를 작성하도록 유도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핏펫은 다른 서비스가 갖고 있지 않은

동물 병원 후기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육아일기와 일정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캘린더 서비스는

고도화가 될 경우, 다이어리를 꾸민다는 '다꾸' 트렌드에 맞게

추가 아이템을 구매하여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다이어리와 캘린더를 꾸밀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솔루션 (MVP) 검증하기

솔루션 검증 방법 & 평가 지표 설정

저는 이 솔루션을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3명의 반려인에게

모바일 앱의 형태로 구현된 프로토타입을 통해 검증 받고 싶습니다.

 

제가 정의했던 핏펫의 문제 해결방법은

'추가적인 기능 제공을 통한 병원 검색 서비스의 고도화'입니다.

이를 통해 제가 의도한 것은

사용자의 앱에 대한 재방문율을 높일 서비스를 제공해

핏펫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자연스럽게 광고와 핏펫몰에 자주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핏펫의 수익 모델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위함이었습니다.

 

따라서 솔루션의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지표는

앱에 대한 재방문율과 앱 체류 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