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 매니저 이해하기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과제 1]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01. PM 공고 분석하기
PM(Product Manager)의 뜻을 정의하기에 앞서
기업이 원하는 PM이란 무엇인지 알아내기
LINE Plus, 카카오쇼핑라이브, 당근마켓의 PM 공고를 찾아보았습니다.
[1] LINE Plus
채용 직무명
Social Service Product Manager
담당업무(Job Description)
- LINE Social Service Product Managerment
- 관련 서비스 전반의 기획
- 개발 및 디자인 등 Cross-Functional Product Team과의 협업
- 새로운 프로덕트 기회에 대한 발굴 및 전반 로드맵 Management
자격요건
- 3년 이상의 모바일 앱 기획 경험이 있으신 분
- 사용자 경험 시나리오 기반의 설계 경험이 있으신 분
- 개발 및 디자인 등 다양한 부서와 원활히 협업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으신 분
-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개선 및 문제 해결 능력이 높으신 분
- 문제 해결을 즐기시는 분
- 해외 출장 및 근무에 결격 사유 없으신 분
우대요건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카메라 서비스 기획 경험이 있으신 분
- 외국어로 업무 진행이 가능하신 분 (일본어, 영어)
LINE CAREERS | Social Service Product Manager (linecorp.com)
[2] 카카오쇼핑라이브
채용 직무명
서비스 기획자 채용 (경력)
담당업무(Job Description)
- 카카오쇼핑라이브 서비스 기획 및 운영 관리
- 데이터와 사용자 니즈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기획
- 서비스 기능 및 화면 설계
자격요건
- 서비스 기획 2~5년 경력이 있는 분
- 기능 개선을 포함한 프로젝트 오픈 경험이 있는 분
- 사용자 경험 중심의 UI/UX 설계가 가능한 분
- 라이브커머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분
- 사업/디자인/개발 등 협업 부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
- 포트폴리오 제출(권장)
우대요건
- e커머스 또는 라이브서비스 기획 경험이 있는 분
- e커머스 시장 트렌드의 높은 이해와 분석 능력을 보유한 분
- 도전적인 과제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를 보유한 분
- SQL, 태블로 등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분
진행중공고 / [카카오쇼핑라이브] 서비스 기획자 채용(경력) / 서비스비즈 / 정규직 (kakao.com)
[3] 당근마켓
채용 직무명
Product Manager - 로컬커머스
담당업무(Job Description)
- 당근마켓 앱의 로컬 커머스(O2O) 서비스 Product Manager 역할을 해요.
- 고객에 대한 정성/정량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한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기획하고, 추진해요.
-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가설을 수립하고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 서비스를 개선해요.
- O2O 서비스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고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요.
-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역할을 이해하고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리드해요
자격요건
- 모바일 서비스 PO/PM 경력을 4년 이상 갖추신 분
- 모바일 서비스 및 O2O 서비스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경험
-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신 분
- 서비스 분석 및 개선 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가 높으신 분
- 주도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논리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추신 분
우대요건
- 이커머스 또는 O2O 서비스에 대한 기획 경력이 있으신 분
- 신규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 설계, 시장 진입 전략 수립과 실행을 경험해보신 분
- 지역 기반 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은 분
Product Manager - 로컬커머스 | 당근마켓 채용 (daangn.com)
02. 내용들을 종합하여 공통적으로 PM이 하는 일을 정의하기
"첫째, 개발 및 디자인 등의 협업 부서와 소통히 원활해야 한다."
LINE Plus의 경우,
"개발 및 디자인 등 Cross-Functional Product Team과의 협업"를 담당 업무에,
"개발 및 디자인 등 다양한 부서와 원활히 협업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으신 분"를 자격 요건란에 명시하였습니다.
카카오쇼핑라이브의 경우,
"사업/디자인/개발 등 협업 부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을 자격 요건으로 요구하였으며
당근마켓 역시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역할을 이해하고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리드해요"와
"주도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논리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추신 분"를 요구하였습니다.
"둘째, 데이터 분석 능력을 갖춰야 한다."
LINE Plus는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개선 및 문제 해결 능력이 높으신 분"을 자격 요건으로 요구하였으며
카카오쇼핑라이브 역시
"데이터와 사용자 니즈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기획"을 담당 업무로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우대 요건으로 "SQL, 태블로 등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분"을 찾고 있습니다.
당근마켓 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가설을 수립하고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 서비스를 개선해요."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신 분"을 원하는 것을 공고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셋째,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LINE Plus는
"사용자 경험 시나리오 기반의 설계 경험이 있으신 분"을 자격 요건란에 명시하였고
카카오쇼핑라이브 또한
"사용자 경험 중심의 UI/UX 설계가 가능한 분"를 자격 요건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당근마켓의 경우에도
"고객에 대한 정성/정량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한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기획하고, 추진해요."의 부분에서 이와 같은 요건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03. 나의 의견으로 Product Manager 정의하기
해당 공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가 정의한 PM은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성적/정량적 데이터를 통해 이해관계자들과 원활하게 협업할 줄 알아야 하는 사람"입니다.
[과제 2] PM의 업무 역량
01. 이외 최근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PM의 업무역량
앞서 언급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데이터 분석 능력,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 이외에도 PM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시장에 대한 이해
- IT 트렌드에 지식
-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
02. 내가 되고 싶은 PM
저는 'T자형 주니어 PM'이 되고 싶습니다.
넓은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춰야 하는 Product Management 직군에서
개발과 디자인에 대한 지식을 갖춰
기획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느 부서에 어떻게 협업을 요청해야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PM이 되고 싶습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저만의 Speciality를 가진 PM이 되고 싶습니다.
배우고 싶은 것이 많은 저는 구체적으로 PM의 업무 역량 중 어떤 것을 저의 speciality로 키워야 할지 아직 모르지만
앞으로의 13주 동안 그 방향을 잡을 수 있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