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 역기획해보기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오늘은 당근마켓을 역기획해보겠습니다.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XX년, 카카오 재직 당시 사내 게시판에서 직원간 중고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걸 보고 아이디어를 얻은 김용현 대표. 처음엔 직장인 앱인 '블라인드’처럼 판교 테크노밸리 회사원들만 쓰던 서비스였는데, 판교 주민들로부터 ‘우리도 쓰게 해달라’는 문의가 많아 앞으로 방향성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고민이다. 일단 직원 이메일 인증을 없애고 휴대폰 GPS를 통한 동네 인증 시스템을 도입한 후 점차 각 지역으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 같은데, 시작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까 막막하다.
제품을 사용할 고객은 주로 어떤 사람들일까요? 대표 페르소나를 설정해주세요.
사용자가 직장인에 한정된 앱 '블라인드'에서 사용자층을 넓혀
직원 이메일 인증이 필요 없는 동네 인증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점에서 페르소나를 비직장인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육아 맘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맘스홀릭베이비가 2021년 7월, 약 3주가 진행한 (당근마켓 기획 시기에는 맞지 않지만) 설문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해주신 분들 중 오직 8.9%만이 중고거래를 해본적이 없다고 응답해주셨으며
전체 중 73.5%는 물건 구입과 판매 모두를 경험해보았다고 응답해주셨습니다.
해당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비직장인의 육아맘으로 대표 페르소나를 아래와 같이 설정해보았습니다.
중고거래를 하는 고객의 유저 저니맵은 어떻게 될까요?
User Journey Map이란?
프로덕트를사용하면서 유저가 경험할 수 있는 일련의 상황을 타임라인 형식으로 시각화한 것.
설정한 페르소나가 중고거래 앱을 통해 구매를 시도할 때 경험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세분화하여 유저저니 맵으로 시각화해보았습니다.
각 단계에서 고객 가치가 어떻게 되는지 작성해 봅니다.
고객 가치는 세가지 종류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a. 고객 가치 창출(+): 고객을 위해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제품, 서비스, 감정 개선 등)
b. 고객 대가 지불(-): 창출된 가치에 대가를 부과하기 위해 추가하는 활동(가격, 광고 보기 등)
c. 고객 가치 잠식(-): 가치를 창출하지도, 창출된 가치에 대가를 부과하지도 않는 활동(대기 시간, 이동 거리 등)
각 단계의 획득 가치(+), 지불 비용(-), 잠식 가치(-)를 합산하였을 때
가장 핵심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은 어디인지 결정합니다.
유저저니맵과 고객 가치 사슬을 보아 중고 거래에 있어
가장 핵심적으로 해결할 부분은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물건 검색 과정
2) 판매자 문의 과정
3) 거래 시 이동 과정
이 중 특히 판매자에게 문의하는 과정에 있어 구매자가 소통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전부터 제대로 해보고 싶었던 역기획인데
페르소나 설정 부분이나 각 자료를 만들면서 충분한 시간을 쓰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웠다.
오늘도 제출에 의의를 두며 빠른 시일내로 내용을 보완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