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JennPM

[W8D2] 스크럼 가이드를 살펴보자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스크럼이란 무엇일까

 

theliberators.com

 

스크럼 (Scrum)이란 조직이 복잡한 문제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활용하여

사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로

켄 슈와버 (Ken Schwaber)와 제프 서덜랜드 (Jeff Sutherland)가 개발하였습니다.

 

스크럼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지켜야하는 다섯 가지 가치가 있습니다.

 

약속 Commitment, 집중 Focus, 열린 마음 Openness, 존중 Respect, 용기 Courage

 

이 다섯가지의 가치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스크럼 팀은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서로 협력할 것을 약속한다. 팀원들은 이러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스프린트 동안 최상으로 가능한 진전을 만드는 일에 최우선적으로 집중한다. 스크럼 팀과 이해당사자들은 일과 도전에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스크럼 팀원들은 팀원 개개인이 능력을 갖춘 독립적인 존재임을 서로 존중해야 한다. 스크럼팀과 함께 일하는 외부인들도 스크림 팀을 존중해야 한다. 스크럼 팀은 힘든 문제를 해결할 때 올바른 일을 하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 <스크럼 가이드> 발췌

여기서 스크럼 팀은

스크럼 조직의 기본 단위를 일컬으며 보통 적은 수의 인원으로 구성됩니다.

스크럼 팀은 주로 한 명의 스크럼 마스터, 한 명의 프로덕트 오너 그리고 개발자들로 구성되며

수직 구조가 없는 수평적 구조로 이뤄져 있습니다.

즉 스크럼 팀은, 하나의 프로덕트 목표를 위해 모인 전문가들의 집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프로덕트 오너는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스크럼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해야 할까

 

하나의 프로덕트 목표를 위해 모인 전문가들의 집단인 스크럼 팀의 결과물인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책임을 갖는 사람이 바로 프로덕트 오너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프로덕트 오너는 유저 스토리를 기반으로 작성한 프로덕트 백로그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quickscrum.com

 

프로덕트 백로그란 제품의 이해관계자와 논의하여 정의된

프로덕트의 기능이나 제품에 개발에 있어 필요한 요구사항을

목록으로 정리한 것을 말합니다.

스프린트 백로그는 이러한 프로덕트 백로그에서 결정된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정해진 스프린트 동안 해야 할 일들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스프린트에 대해선 조금 더 아래에서 논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프로덕트 오너가 프로덕트 백로그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프로덕트 오너는 프로덕트의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대표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품의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해 헷갈림 없이 소통해야 합니다.

또한 프로덕트 백로그의 항목들을 작성할 때 역시

이해관계자들과 원활하게 소통해야 하며

항목의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정하고

이를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야 합니다.

 

 

 

스프린트란 무엇일까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지속적인 점검과 적응을 위해서는

스프린트 계획, 데일리 스크럼,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회고 라는 4 가지 이벤트가

하나의 스프린트 안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스프린트란 무엇일까요?

스프린트는 스크럼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꾸준함을 갖기 위해 짧은 기간으로 이벤트를 나누는

일종의 단기 목표 기간입니다.

스프린트 기간을 너무 길게 잡으면

진행 과정이 복잡해지고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통 1~2주 혹은 한 달 정도로 스프린트 기간을 설정하여 리스크를 한정시킵니다.

스프린트가 끝나면 바로 다음 스프린트가 이어서 시작됩니다.

 

스프린트 계획

스크럼 팀은 다 함께 스프린트 계획을 짜

해당 스프린트 동안 이룰 목표를 정합니다.

스프린트 계획을 세울 때는 3가지의 질문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첫째, 이 스프린트가 왜 가치가 있는가?

둘째, 이 스프린트의 완료 Done는 무엇인가?

셋째, 선정한 일은 어떻게 완료할 것인가?

 

데일리 스크럼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 모여 약 15 ~ 20분 동안 진행하는

데일리 스크럼 미팅을 통해

진행에 있어 꾸준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일 짧은 회의를 하기 때문에

일의 진척도와 남은 작업량 등을 미리미리 파악할 수 있고

예기치 못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리뷰는 하나의 스프린트를 마치고

프로덕트의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다 함께

해당 스프린트 동안 작업한 결과물들을 피드백받는 자리입니다.

스프린트 리뷰 시간은 한 시간으로 정해져 있으며

준비 시간 역시 30분을 넘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스프린트 회고

스프린트 회고는 스프린트 리뷰와 달리

모든 이해관계자가 아닌 스크럼 팀의 구성원끼리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회고의 목적은 해당 스프린트를 돌아보고

방향성을 다시 잡음으로써 목표를 다시 확인하여

다음 스프린트의 품질과 효율을 향상하기 위함입니다.

 

 

개발자들과 스크럼 마스터는 무엇을 할까

 

스크럼 팀에서 개발자들은 각 스프린트마다

프로덕트를 개발하여 기능을 성장시키는 사람들입니다.

개발자들은 이 과정에서

스프린트 동안 이뤄야 하는 목표에 대한 계획 즉, 스프린트 백로그를 작성하고

목표를 위해 매일 같이 계획을 조금씩 조정하며

프로덕트의 품질을 높이고 이 과정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스크럼 마스터는 조직과 스크럼 팀의 구성원들이

스크럼 프레임 워크를 이해하고 적용시킬 줄 알도록 도와야 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책임져야 하는 리더입니다.

스크럼 마스터는 프로덕트 오너를 위해

프로덕트 목표를 정하고 백로그를 관리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하며

팀원 간의 협업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따라서 스크럼 팀이 목표를 이루는 것에 방해가 되는 것들을 제거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스크럼 팀 구성원들의 소통을 도와야 합니다.